코로나 백신인 아스트라제네카와 관련하여
혈전 발생 가능성에 대한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혈전이란, 생체 내부를 순환하는 혈액의 일부가
혈관 속에서 굳어져서 생기는 혈액응괴 현상을 이야기 합니다.
혈전이 생기면 혈관을 좁히거나 막게 되어 혈류를 방해하게 되는 것입니다.

ㅣ 아스트라제네카 사망 예방 효과 vs희귀 혈전증 사망 확률 비교는?
그렇다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으로 인한 혈전은 얼마나 위험한지,
객관적인 통계를 통해 알아볼까요?
우리나라에서는 75만 명의 접종자 중 1건의 희귀 혈전질환이 발견되어
100만 명당 1.33건의 발생률을 보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민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하게 된다면,
희귀 혈전증으로 사망하는 것보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코로나로부터 사망을 예방하는 효과는
20~29세는 0.7배,
30~39세는 1.7배,
40~49세는 3.1배,
50~59세느나 10.7배,
60~69세는 42.1배,
70~79세는 215.5배,
그리고 80세 이상은 690.3배 높은 것으로 계산됩니다.
그렇기에 29세 이하는 접종이 권장되지 않으며, 이익을 보는 30세 이상은 물론이고,
백신의 효과가 훨씬 높은 그 이상의 연령대에게는 아스트라제네카 접종을 유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ㅣ 아스트라제네카와 다른 요인으로 인한 혈전 발생 확률은?
아스트라제네카 혈전 발생 확률은 0.0004%이며,
흡연이나 비행기를 탔을 때에는 0.20%,
경구 피임약을 복용했을 때의 혈전 발생 확률은 무려 0.1%에 달합니다.
수치로 봤을 때
경구 피임약 > 흡연, 비행기탑승 >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순으로
백신의 혈전 발생 확률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지요.

ㅣ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후 진료를 받아야하는 증상은?
백신 접종을 받은 후에 중증이거나 지속되는 두통, 시야가 흐려지거나
혼돈, 발작, 숨 차는 증상, 가슴 통증이나 다리 종창, 다리 통증, 지속되는 복통,
주사부위 이외의 피부 부위에 멍이나 점상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야합니다.
'알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 코로나 변이 확산 가능성?! 영국 변이 바이러스 영향 (0) | 2021.04.30 |
---|---|
Etsy :: 한국 엣시샵 개설 중단?! 엣시 페이먼트 도입 이슈 (0) | 2021.04.29 |
성남 복정 신혼희망타운 사전청약 일정은? : 3기신도시 복정1 신희타 정리 (0) | 2021.04.26 |
카톡 라이언 x 오뚜기 콜라보 필통, 버즈케이스 등 새롭게 출시 (0) | 2021.04.16 |
에스티로더그룹 닥터자르트 우주선크림은 가짜선크림?! (0) | 2021.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