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힘 쓰는 일을 하면 한 동안 팔에 힘이 안 들어가는 순간이 있더라구요.
걱정이 들어 바로 폭풍검색을 하니, 팔이 저린 것은 단순히 근육통 문제가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Mq1DK/btqOdamjNEi/DQzmJfmY3acDZE80B8B86K/img.jpg)
팔에 힘이 없거나, 힘이 안 들어가는 등의 팔 저림, 뻐근한 증상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목디스크가 문제일 수도 있다고 하네요.
목디스크는 경추뼈와 뼈 사이의 디스크가 탈출하는 등의 문제가 생겨 경추신경에 자극이나 압박을 가하는 질환이라고 합니다.
8쌍의 경추신경 중 4번, 5번, 6번, 그리고 7번 경추와 1번 흉추사이에서 나아가는 신경근이 어깨는 물론이고 팔과 손가락으로 이어지는데, 여기에 문제가 생겼을 때 팔에 힘이 안 들어가거나 주먹을 쥐기 힘들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wYIm5/btqObYNr20H/C84Ivb5pFMBZN2dFpk00DK/img.jpg)
목디스크의 진행을 가속화 시키는 원인으로는 최근 스마트폰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기도 하지요.
지하철이나 버스를 탔을 때 스마트폰을 안 보는 사람을 찾기가 더 힘들어진 요즘, 화면을 아래에 두고 고개를 숙여 화면을 바라보는 자세는 목디스크에 특히나 치명적이라고 해요.
언제나 복근에 힘을 주고, 앉아있을 때에는 의자의 등받이에 등을 기대 똑바른 자세로 화면을 높이, 눈높이에 두고 목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만성적인 목이나 어깨 통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목디스크가 발생하기 쉽다고 합니다. 교통사고와 같이 목이 뒤로 확 젖혀졌다가 앞으로 다시 꺾이는 외상으로 디스크가 뒤로 밀려서 디스크 증상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목디스크 증상을 보고 스스로 판별하기보다, 병원에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검사를 통해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겟지요?
![](https://blog.kakaocdn.net/dn/oUfmw/btqN8ecq4Ss/g2QIj4a7hskgzghdyD6arK/img.webp)
목디스크가 생겼을 때에는 한의원에서 약침으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 추나요법, 물리치료 등을 통해 잘못된 자세를 바로 잡고 균형을 다시 잡아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언제나 중요한 것은, 목디스크를 재발 시킬 수 있는 잘못된 생활습관을 바로잡는 것입니다. 올바른 운동을 병행하며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눈높이에 맞춰 사용하는 등의 개선된 생활습관이 필요할 것입니다.
'알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북 제천 코로나19 확진자 집단발생으로 유치원 학교 등교 중단 (0) | 2020.11.27 |
---|---|
처음학교로 일반모집 발표 : 선발과 대기 이후 일정은? (0) | 2020.11.25 |
누런이 만드는 치아 착색 유발 음식과 치아미백 방법 (1) | 2020.11.22 |
마스크 과태료 기준과 금액은? - 마스크 의무화 (0) | 2020.11.22 |
처음학교로 일반모집 접수 요강 - 사전접수 시작 (0) | 2020.11.16 |